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2024년 9월 14일(토) 주식현황(1위~30위)

by Blood MagiRas 2024. 9. 19.
반응형

주봉의 흐름

 

지수의 흐름

주봉으로 볼 때, 이번주는 상승세인데, 전주랑 비교해봤을 때 하락했다가, 올라오는 거라 아주 강한 상승은 아닐것 같다. 다음주는 약한 상승이 나오지 않을까 예상한다. 하락장후 상승 또는 옆으로 기어가는 주다. 다음주가 추석으로 인해서 2틀밖에 안되기는 하지만...

23년 01월 : 4주간 상승세
23년 02월 : 7주간 하락세
23년 03월 : 4주간 상승세
23년 04월 : 4주간 하락세
23년 05월 : 4주간 상승세
23년 06월 : 4주간 하락세
23년 07월 : 1주간 상승세 4주간 하락세
23년 08월 : 4주간 상승세
23년 09월 : 6주간 하락세
23년 11월 : 9주간 상승세
24년 01월 : 4주간 하락세
24년 02월 : 8주간 상승세
24년 04월 : 4주간 하락세
24년 04월 : 3주간 상승세

24년 05월 : 3주간 하락세
24년 06월 : 5주간 상승세
24년 07월 : 4주간 하락세
-------------------------------------------
24년 08월 둘째주 : 상승세
24년 08월 셋째주 : 상승세
24년 08월 넷째주 : 하락세
24년 09월 첫째주 : 하락세
24년 09월 둘째주 : 상승세



 

지수와 삼성전자의 비교

 

삼성전지가 지수보다 훨씬 약하다. 다음주 지수는 횡보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1~2주 정도 횡보하다가 내려가지 않을까? 삼성전자가 떨어지는데 어디가 올라갔길래 지수가 오른 것일까?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잘 버티어줬구나. 

LG에너지솔루션 : 과거 5일간 변동폭은 크나, 지수랑 거의 비슷하고 움직였고, 

삼성바이오로직스 : 지수보다 강했는데... 너무 오른 가격이 아닌가??? 모르겠다. 

 

현대차 : 지수랑 비슷하게...

셀트리온 : 이번주는 이것도 지수랑 이것도 비슷하게..  

8월 5일 지수하락기(-8%) -5%로 별로 안떨어져서 장기적으로 오를 것이라고 판단하고 9월 2일에 거래량과 상관없이 매매한 주식. 지수하락에 맞추어 떨어지고 있다. 이 아이도 한달 정도 장기적으로 보고 구매한 주식인데... 지켜보자. (판매한다면, 9월 23일 10%이상 이익이 난다면 매도, 아니면, 10월 2일 매도)

 

기아 : 약한흐름. 최근 1년간 최고점 대비 25%가량 빠진상태라, 주가보다 빨리 전고점을 탈환한다면, 오를 가능성(적어도 5%)이 있지 않을까? 

KB금융 : 약한흐름. 이미 많이 올라버린 주식

 

포스코홀딩스 : 

 - 지난주 분석 : 8월말에 지수보다 좀 강하다 싶더니... 주저 않는구나...

 - 이번주 분석 : 지수가 옆으로 기었는데, 팍 치고 올라가네?? 전고점을 탈환했으니 지수가 올라가거나 옆으로 긴다면,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거 같은데... 매수타이밍을 언제로 잡아볼까?? 

신한지주 : 이미 많이 오른 주식 pass

포크코홀딩스 거래량까지 봐보자. 

쭉쭉 떨어지던 주식이 8월 8일을 기점으로 20일선이 상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고... 8월 20일 기점으로 60일선도 상승으로 바뀐것으로 보인다. 2천억 이상 거래대금이 최근 2번이나 터지기는 했는데.... 지수가 크게 하락하지만 않는다면, 결국 올라갈 것으로 보이는데.... 어느금액을 타겟으로 잡아야 할지 모르겠다 ㅋㅋㅋㅋ

 

 

삼성물선 :

- 지난주 :  강하다 싶었는데, 제자리로 돌아왔다. 지수는 낮아졌지만, 아직 지수만큰 많이 낮아지지 않았는데... 이걸 강하다는 신호로 봐야 하는가? 8월 5일 이후로 하한가를 높이면서 올라가고 있긴 하다. 다음번 상승기에 올라갈거 같긴 한데....

 - 이번주 : 변동성이 크기는 한데... 지수와의 큰 차이점음 모르겠다. 선으로 보면, 지수하락 직전의 고점에 도달하는 모양세라... 시장보다 강하기는 한데.... 지수보다 더 빨리 전고점을 탈환하기도 했고.... 전고점을 완전히 탈환하는 시점을 기다려 보자. 

 

NAVER : 8월말에 지수보다 강해보려다가... 말았다. 

삼성SDI, LG화확 :

- 지난주 : 8월 5일 지수하락봉 보다 둘다 위에 있는데... 이게 강한건지... 아닌건지... 이건 좀 애매하네.... 둘다 일년전보다 많이 떨어진 주식인데... 계속 떨어질지 횡보할지.... 지수가 하락시에 같이 하락해서 아직은 잘 모르겠다. 

- 이번주 : 둘다 지수보다 강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에서 삼성 SDI가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삼성전자 하락기에 지수를 지탱해주는 애들중에 하나였구나. 선으로 봐도 강한데... 거래량하고 같이 봐보자

 

LG화학은 거래대금이 좀 약하고.... 삼성SDI는 거래대금도 좋고.... 9월 11일에 2천억 양봉 터진후에 숨고르기 하는 모습인데... 8월 5일 지수폭락기 보다 훨상 위에 위치하고 있고...  먼가 살아날 기미를 보이는거 같은데... 지수만 받쳐준다면.... 올라기지 않을까? 어디서 사야하지??

 

 

현대모비스

- 지난주 : 마지막 2틀이 강했는데... 하락기 전반으로 보면... 강한거 같지는 않는데... 이틀 강한거를 강한거라고 볼수 있는가...

- 이번주 : 현대모비스가 삼성전자 하락기에 지수를 버티게 해준 원인이구나. 

삼성생명 : 이미 많이 올라버린 주식 pass. 

 

현대모비스 거래량과 같이 보자.

 

아... 거래량이 안타깝다. 500억대에서 머무르는 구나.... 좋은 흐름은 보여주는거 같은데.... 지켜보자. 

 

 

 

메리츠금융지주 : 이미 올라버린 주식... 아직 금융주가 강하구나...

포스코퓨처엠 : 나에게 큰 손실을 안겨준 주식.... 반등하기는 했는데... 이건  pass

 

LG전자 : 

- 지난주 : 찾았다. 지수가 하락하는 동안 오른주식. 아직 지수하락기가 끝난지 모르겠는데, 지수오를때 크게 오르지 않을까? 변동폭이 상당히 크구나. 

- 이번주 : 지수가 기어갈때, 같이 기어간다. 오늘(9월 19일) 많이 올랐는데... 몇%를 목표로 해야 할까? 일단 상승기에 접어 들었으니... 지켜볼까? 10%를 넘기면 팔고, 아니면, 더 지켜본다. ( 앞으로 오를거라고 확신하면, 꽤 높은 비중을 들어가야 하는구나.... )

매도의 확실한 나만의 기준을 세워야 하는데... 아직 모르겠다. 뭐... 이렇게 보다보면 생기겠지.... 일단 10%이상 이익을 보려고 하면.... 꽤 힘든거 같다. 10%가 나만의 기준인가??? 그건 상황별로 다를거 같은데...

 

하나금융지주 : 금융주 pass

 

 

삼성화재 : 이미 많이 오른 주식 pass. 

HD현재중공업 : 아직 특별한 반등이 없다. 이미 많이 오른 주식

 

 

크래프톤 : 이미많이 오른주식. 여전히 강하구나... 단타로 들어가볼 만한가?? 거래대금이 터지지 않는다. 

카카오 : 언제 회복할래?? 그래도 지수따라 올라가는구나. 

 

고려아연 : 이건뭐지??? 사모펀드 영풍과 MBK가 손잡고 경영권탈환하려고 하는구나 ㅋㅋㅋㅋ 이건 pass (갑자기 급등해서, 지난주 30위건에 없다 ㅋㅋ)

 

한국전력 : 

- 지난주 : 지수폭락직전 (8월 5일) 지수하락기에 떨어지지 않던 주식. 지수폭락이후 지수 상승기에 겁나 상승. 이미 놓쳐버린 주식인거 같은데... 개인적으로 큰 관심이 없는 주식이긴 하다. 

- 이번주 : 지수흐름으로만 좋은 흐름이긴 하다. 

KT&G : 

- 지난주 :  이번주 강하다. 8월 5일 지수폭락일 이후 급격하게 올랐는데... 더 오르려고 하나??? 지금은 팔때인가 살때인가?

- 이번주 : 아무리 봐도 단기간에 너무 올랐다... 체크 : 8월 5일 폭락직전에 지수보다 좋은흐름 Good good. 그후 지수가 오를때 많이 오른느구나. 그래도 20%네... 2배 3배는 오르기 힘들겠지... 

 

정리

지수의 흐름

주봉으로 볼 때, 이번주는 상승세인데, 전주랑 비교해봤을 때 하락했다가, 올라오는 거라 아주 강한 상승은 아닐것 같다. 다음주는 약한 상승이 나오지 않을까 예상한다. 하락장후 상승 또는 옆으로 기어가는 주다. 다음주가 추석으로 인해서 2틀밖에 안되기는 하지만...

 

셀트리온 : 이번주는 이것도 지수랑 이것도 비슷하게..  

8월 5일 지수하락기(-8%) -5%로 별로 안떨어져서 장기적으로 오를 것이라고 판단하고 9월 2일에 거래량과 상관없이 매매한 주식. 지수하락에 맞추어 떨어지고 있다. 이 아이도 한달 정도 장기적으로 보고 구매한 주식인데... 지켜보자. (판매한다면, 9월 23일 10%이상 이익이 난다면 매도, 아니면, 10월 2일 매도)

 

기아 : 약한흐름. 최근 1년간 최고점 대비 25%가량 빠진상태라, 주가보다 빨리 전고점을 탈환한다면, 오를 가능성(적어도 5%)이 있지 않을까? 

 

포스코홀딩스 : 

 - 지난주 분석 : 8월말에 지수보다 좀 강하다 싶더니... 주저 않는구나...

 - 이번주 분석 : 지수가 옆으로 기었는데, 팍 치고 올라가네?? 전고점을 탈환했으니 지수가 올라가거나 옆으로 긴다면,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거 같은데... 매수타이밍을 언제로 잡아볼까?? 

포크코홀딩스 거래량까지 봐보자. 

쭉쭉 떨어지던 주식이 8월 8일을 기점으로 20일선이 상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고... 8월 20일 기점으로 60일선도 상승으로 바뀐것으로 보인다. 2천억 이상 거래대금이 최근 2번이나 터지기는 했는데.... 지수가 크게 하락하지만 않는다면, 결국 올라갈 것으로 보이는데.... 어느금액을 타겟으로 잡아야 할지 모르겠다 ㅋㅋㅋㅋ

 

 

삼성물선 :

- 지난주 :  강하다 싶었는데, 제자리로 돌아왔다. 지수는 낮아졌지만, 아직 지수만큰 많이 낮아지지 않았는데... 이걸 강하다는 신호로 봐야 하는가? 8월 5일 이후로 하한가를 높이면서 올라가고 있긴 하다. 다음번 상승기에 올라갈거 같긴 한데....

 - 이번주 : 변동성이 크기는 한데... 지수와의 큰 차이점음 모르겠다. 선으로 보면, 지수하락 직전의 고점에 도달하는 모양세라... 시장보다 강하기는 한데.... 지수보다 더 빨리 전고점을 탈환하기도 했고.... 전고점을 완전히 탈환하는 시점을 기다려 보자. 

 

삼성SDI, LG화확 :

- 지난주 : 8월 5일 지수하락봉 보다 둘다 위에 있는데... 이게 강한건지... 아닌건지... 이건 좀 애매하네.... 둘다 일년전보다 많이 떨어진 주식인데... 계속 떨어질지 횡보할지.... 지수가 하락시에 같이 하락해서 아직은 잘 모르겠다. 

- 이번주 : 둘다 지수보다 강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에서 삼성 SDI가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삼성전자 하락기에 지수를 지탱해주는 애들중에 하나였구나. 선으로 봐도 강한데... 거래량하고 같이 봐보자

LG화학은 거래대금이 좀 약하고.... 삼성SDI는 거래대금도 좋고.... 9월 11일에 2천억 양봉 터진후에 숨고르기 하는 모습인데... 8월 5일 지수폭락기 보다 훨상 위에 위치하고 있고...  먼가 살아날 기미를 보이는거 같은데... 지수만 받쳐준다면.... 올라기지 않을까? 어디서 사야하지??

 

현대모비스

- 지난주 : 마지막 2틀이 강했는데... 하락기 전반으로 보면... 강한거 같지는 않는데... 이틀 강한거를 강한거라고 볼수 있는가...

- 이번주 : 현대모비스가 삼성전자 하락기에 지수를 버티게 해준 원인이구나. 

아... 거래량이 안타깝다. 500억대에서 머무르는 구나.... 좋은 흐름은 보여주는거 같은데.... 지켜보자. 

 

LG전자 : 

- 지난주 : 찾았다. 지수가 하락하는 동안 오른주식. 아직 지수하락기가 끝난지 모르겠는데, 지수오를때 크게 오르지 않을까? 변동폭이 상당히 크구나. 

- 이번주 : 지수가 기어갈때, 같이 기어간다. 오늘(9월 19일) 많이 올랐는데... 몇%를 목표로 해야 할까? 일단 상승기에 접어 들었으니... 지켜볼까? 10%를 넘기면 팔고, 아니면, 더 지켜본다. ( 앞으로 오를거라고 확신하면, 꽤 높은 비중을 들어가야 하는구나.... )

매도의 확실한 나만의 기준을 세워야 하는데... 아직 모르겠다. 뭐... 이렇게 보다보면 생기겠지.... 일단 10%이상 이익을 보려고 하면.... 꽤 힘든거 같다. 10%가 나만의 기준인가??? 그건 상황별로 다를거 같은데...

 

 

 

 

 

 

 

 

 

 

 

 

 

 

 

 

 

 

 

 

 

 

 

 

 

 

 

 

 

 

 

 

 

 

반응형